RasberryPi

raspberry pi - ext4파일 시스템 인식

찬영_00 2025. 4. 7. 22:25

linux운영체제에서 ext4파일 시스템은 당연히 인식이 가능하다.

다만 windows에서는 불가능하다는점,,

다들 경험해봤을 거다.

rasberry pi img를 구운 sd카드를 windows에 연결하면 다음과 같이 뜬다는 것을,,

 

bootfs는 fat32파일 시스템이라 windows에서 인식이 되는데 저기 roots는 이름조차 뜨지 않는다.

ext4파일 시스템은 windows에서 불가능하기 때문,,

근데 가끔 이 안을 들여다 보고 수정할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기록용으로 남겨두려한다. (가상머신이 좋을 수 도 있지만 나의 아까운 용량,, 쓰고 싶지 않다)

 

준비물은 usb연결을 할 수 있는 라즈베리파이 ( 젯슨나노도 괜춘, 아니면 리눅스 가상머신도 상관없음 )

나는 라즈베리파이 3B+ 를 사용하겠다.

 

여튼 일단 라즈베리파이를 실행해준다. ( 나는 lite버전이라 터미널에서 진행한다. )

 

ssh로 라즈베리파이랑 연결을 하자

이렇게 sd리더기를 연결해주자 ( sd카드는 이미 다른 라즈베리파이의 img가 구워져 있다. )

 

lsblk 명령어를 입력해 usb가 인식되는지 보자

여기서 sda가 보인다.

sba중에서 sda1은 옆에 bootfs라고 적혀있다. 이건 우리가 windows에서 연결하면 보이는 fat32파일 시스템이다.
우리가 보고 싶은건 14.6G가 할당된 sda2이다.

여기서 sdx임을 유의하자
이게 무슨 말이냐면 sdb or sdc일수도 있다. 여튼 sd?이니 sda없다고 인식 안된다고 하지말자
mmcblk는 내장된 파티션이니 건들지말자

 

그럼 이제 mount를 시켜주자

먼저 mnt안에 usb폴더를 만들어주고, 그 폴더안에서 볼 수 있게끔 할거다.

sudo mkdir /mnt/usb

 

이후 마운트해주자

sudo mount -t ext4 /dev/sda1 /mnt/usb

 

ext4파일 시스템이니 ext4로 마운트해준다. 

그리고 ls /mnt/usb 를 하게 되면 바로 접근 가능!

 

파일 수정할 땐 sudo를 꼭 앞에 붙여주자 ( 귀찮으면 sudo chmod -R 777 /mnt/usb 해줘서 권한 줘도 됨 )

 

예를 들어 와이파이 등록쪽을 건들고 싶다~하면

sudo nano /mnt/usb/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해주면 된다.

그리고 언마운트 하고 sd제거해주자 (언마운트할때 usb안에서 하지말고, cd / 해서 밖에서 해주자 )

sudo umount /mnt/usb

 

여튼 이렇게 간단하게 ext4파일 시스템을 열고 안에 파일도 수정해 보았다.

'Rasberry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 Pi 2 W OTG setting -2 (해결 0)  (0) 2025.03.30
Raspberry Pi 2 W OTG setting -1 (해결x)  (0) 2025.03.30
Raspberry Pi - SSH with VS code  (0) 2025.03.29
RaspberryPi 3B+ MQTT & sqlite  (0) 2025.03.28
RaspberryPi 3B+ sqlite3  (0)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