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에서 Hello, World! 를 출력해보았다.
그렇기에 이제 소스 코드를 살펴볼 것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World!");
return 0;
}
자 아무리 C언어를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Hello,World!를 프린트하라는건가? 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것이 맞다 !
" "로 감싼 부분을 문자열이리고 하고 printf는 화면에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 여기서 함수란 위에서 main이나 printf 뒤에 ()(괄호)가 붙은 단어를 함수라고 한다.
printf("Hello,World!");
따라서 위 같이 printf를 써주고, 괄호 안에 출력할 내용을 넣은 뒤 ;(세미클론)을 붙여주면 printf함수가 실행된다.
다른 말로 함수 호출(call)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include <stdio.h>
그리고 위 코드는 stdio.h라는 헤더파일을 포함하라는 뜻인데 어떠한 헤더파일을 포함할 경우 #include 라는 문법을 사용하면 된다.
stdio.h는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될 헤더파일중 하나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음 코드를 살펴보자
int main() {
}
이 함수는 가장 처음에 실행되는 특별한 함수이다.
따라서 소스코드에 main함수가 없으면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문법이니 외워두자!
return 0; 은 나중에 반환에 대해 설명할 때 다룰 예정이니 넘어가도록 하겠다.
이렇게 저번에 실행해본 소스코드를 나름 자세히? 살펴보았다.
여기서 의문점이 드는 친구들도 있을 것이다.
printf는 문자열만 출력이 가능한가?
좋은 질문이다. 이제부터 서식 지정자를 배우면서 문자열만 출력이 가능한지 알아보겠다.
서식 지정자는 printf로 문자열을 출력할 때 값으로 바뀌는 부분을 뜻한다.
아래 예시 그림을 보면 %s가 서식 지정자임을 알수 있다.
서식 지정자를 응용해 보겠다.
* 다음 링크는 형식 지정자라고 되어있지만 서식 지정자라고도 한다는 점을 유의하고 참고해라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s\n", "Hello, World!");
printf("%d\n", 2);
printf("%f\n", 0.3);
printf("%c", 'h');
return 0;
}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자열, 정수, 실수, 문자 순으로 출력하였고, 잘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은 기본 문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많관부!
'프로그램 언어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 자료형 사용하기 (0) | 2024.05.14 |
---|---|
변수 만들기 (0) | 2024.05.12 |
기본 문법을 알아보자 (0) | 2024.05.11 |
개발 환경 구축과 C언어 시작하기 (0) | 2024.05.07 |
C언어를 알기 전 5초 훑기 리뷰 (0) | 2024.05.02 |